👉 기초·차상위 대학생이라면? 월 최대 20만 원 주거비 지원 받으세요!
👉 신청 기간: 2025년 2월 4일 ~ 3월 18일
👉 신청 방법: 한국장학재단 홈페이지 또는 앱
📌 지원 대상, 신청 방법, 참여 대학까지! 주거안정장학금에 대한 모든 것을 알려드립니다.
🎯 누가 받을 수 있나요? (지원 대상)
✅ 기초·차상위 계층 대학생
✅ 원거리 대학 진학자 (대학과 부모님 주소가 다른 교통권)
✅ 소속 대학이 사업 참여 대학이어야 함 (아래 명단에서 확인 가능)
📌 원거리 대학 진학 기준이 중요한데요!
부모님 주소와 대학 소재지가 같은 교통권이면 지원이 불가합니다.
🔎 예시로 쉽게 알아볼까요?
대학 소재지 | 부모님 주소 | 지원 가능 여부 |
---|---|---|
서울 | 경기도 성남 | ❌ (같은 수도권) |
대전 | 서울 | ✅ (다른 교통권) |
창원 | 진주 | ❌ (같은 경상남도 내 인접 지역) |
전주 | 남원 | ✅ (서로 다른 지역) |
📌 수도권(서울·경기·인천) 안에서는 원거리 인정되지 않아요!
🏫 사업 참여 대학 명단 (총 255개 대학)
📌 아래 명단에 있는 대학 재학생만 신청 가능!
서울권
- 경희대학교
- 고려대학교
- 서울대학교
- 연세대학교
- 한국외국어대학교
- 한양대학교
- 홍익대학교
(외 다수)
수도권(경기·인천)
- 가천대학교
- 경기대학교
- 단국대학교
- 아주대학교
- 인하대학교
- 중앙대학교 안성캠퍼스
- 한경대학교
(외 다수)
충청권
- 공주대학교
- 대전대학교
- 충남대학교
- 충북대학교
- 한남대학교
- 한국기술교육대학교
(외 다수)
호남권
- 광주대학교
- 전남대학교
- 전북대학교
- 조선대학교
- 호남대학교
(외 다수)
영남권
- 경북대학교
- 부산대학교
- 영남대학교
- 울산대학교
- 창원대학교
- 한동대학교
(외 다수)
📌 본인이 다니는 대학이 참여 대학인지 한국장학재단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세요!
📝 신청 방법 & 기간
📅 신청 기간: 2025년 2월 4일(화) ~ 3월 18일(화) 24시까지
📍 신청 방법: 한국장학재단 홈페이지 또는 모바일 앱
📌 신청 절차 (Step-by-Step)
1️⃣ 한국장학재단 홈페이지 접속 또는 앱 실행
2️⃣ 회원가입 후 로그인
3️⃣ “주거안정장학금” 신청
4️⃣ 필수 서류 업로드
5️⃣ 신청 완료 후 결과 확인
📌 국가장학금 2차 신청도 같은 기간에 진행되니 함께 신청하세요!
💰 어떤 비용을 지원받을 수 있나요?
월 20만 원 한도 내에서 주거 관련 비용을 지원!
✔ 월세·전세 임차료 (주택, 고시원, 기숙사 포함)
✔ 주거 유지·관리비 (공동주택관리비, 수선유지비 등)
✔ 수도·전기·가스비 등 공과금
✔ 주택 임차·저당 차입금 이자 상환액
📌 실제 거주를 목적으로 하는 비용이면 대부분 지원 가능!
🔥 꼭 알아야 할 유의사항!
🚨 지원 대상이 아닌 경우
❌ 부모님과 같은 교통권에 있는 대학에 다니는 경우
❌ 소속 대학이 사업에 참여하지 않은 경우
❌ 기초·차상위 계층이 아닌 경우
📌 지원 대상인지 헷갈린다면? 한국장학재단(☎ 1599-2000) 문의 필수!
📢 FAQ (자주 묻는 질문)
Q. 서울에 있는 대학에 다니는데, 부모님은 경기도 성남에 살아요. 받을 수 있나요?
👉 ❌ 받을 수 없어요. 서울과 성남은 같은 수도권 교통권이라 지원 대상이 아닙니다.
Q. 대전에 있는 대학에 다니고, 부모님은 서울에 계세요. 받을 수 있나요?
👉 ✅ 받을 수 있어요! 대전과 서울은 다른 교통권이라 원거리 진학으로 인정됩니다.
Q. 월 20만 원을 어떤 비용에 사용할 수 있나요?
👉 월세, 관리비, 공과금(전기·수도·가스), 임차료 등 대부분의 주거비 지원 가능!
📌 더 궁금한 점은? ☎ 한국장학재단 1599-2000 상담센터 이용!
🎯 한눈에 보는 핵심 정리
✔ 기초·차상위 계층 대학생 대상
✔ 원거리 대학 진학자 (대학과 부모님 주소 다른 교통권)
✔ 월 최대 20만 원 지원 (임대료·관리비·공과금 등 사용 가능)
✔ 신청 기간: 2025년 2월 4일 ~ 3월 18일
✔ 신청 방법: 한국장학재단 홈페이지 또는 앱에서 온라인 신청
📌 놓치지 말고 신청하세요! 🚀